|
 |
 |
 |
|
아이에게 긍정의 메시지를 주라 |
|
운영자 |
|
2012년01월25일 |
|
아이는 부모의 사랑과 관심으로 큰다. 부모의 관심을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받은 아이는 남에게도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을 베푼다. 부모로부터 인정과 칭찬을 받은 아이는 그 일이 무엇이든지 더욱 흥미를 느끼게 되고, 무엇이든지 하려고 하는 열성적인 아이로 자란다. 더불어 다른 사람도 인정하려고 하고, 칭찬할 일을 찾아 칭찬한다.
그러나 아이가 부모로부터 부정적인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받으며 자라면 아이의 내면에는 열등감이 쌓인다. 열등감은 아이의 의욕을 갉아 먹는다. 의욕이 없는 아이는 위험하다. 무엇이든지 하려고 들지 않는다. 부모의 부정적인 말들은 아이의 부정적인 생각을 강화시키고, 삶의 태도마저 부정적으로 바꾸어 놓는다.
부모로부터 긍정적인 메시지를 일관되고 끊임없이 받은 아이와 부정적인 피드백을 끊임없이 받으면서 자란 아이. 두 아이의 삶에 대한 태도는 보지 않고도 충분히 예상이 가능하지 않겠는가?
한 아이가 있다. 이 아이를 가르쳐보거나 알고 있는 선생님은 모두 이 아이를 산만하고 집중을 못하는 아이로 기억하고 있었다. 우연히 이 아이와 다른 아이들이 함께 수업하는 모습을 관찰한 적이 있었는데, 이 아이는 끊임없이 바로 뒤에 앉아 있는 여자 아이의 수업을 방해하였다. 뒤에 앉은 여자 아이는 매번 이 아이로부터 수업을 방해받는 것을 참을 수 없어 언제나 선생님에게 아이의 행동을 일일이 고자질하였다. 선생님도 이 아이가 수업의 흐름을 방해하니, 늘 수업을 하다가 이 아이의 자세를 바로잡다가 다시 수업하다가 이 아이의 수업 태도를 야단치다가 정신이 없어 했다.
엄마는 늘 이 아이의 수업 태도가 마음에 걸렸다. 점점 세월은 흘러 학년은 올라가는데 고학년이 되어서도 부정적인 수업 태도를 가지고 있다면 정말 큰일이기 때문이다.
이 아이가 연구소로 수업을 온다. 내심 이 아이를 위한 진단을 진행하고, 이 아이만을 위한 수업 커리큘럼 및 학습 내용을 조직해 놓고도 걱정이 앞섰다. 연구소에서 진행하는 수업마저 집중을 하지 못하고, 산만하게 임한다면 생각보다 심각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의 태도는 수업하는 선생님의 생각을 완전히 뒤짚었다. 아이는 산만하지도 않을 뿐더러 오히려 집중을 더욱 잘하였다. 글씨도 차분하게 잘 썼다.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말하는 시간에도 한 두 가지 생각만 간단하게 말하는 것이 아닌, 이런 저런 생각을 덧붙여 어느 아이보다 유창하게 잘 설명하였다. 수업 시간에 지정한 책의 내용도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을 뿐 아니라, 책의 내용 구석 구석 기억하기 힘든 부분도 끄집어내어 선생님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
이렇게 반응을 다르게 하는 아이.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
다름 아닌 선생님의 피드백이었다. "너무 열심히 잘하는구나!", "와우, 그것도 기억하고 있었어? 멋진데!", "글씨도 너무 정성껏 잘 쓰네.", "오늘은 칭찬 스티커를 1장 더 주어서 4장 주어야겠다.(아이가 수업을 잘하였을 경우, 칭찬 스티커를 3장 주기로 수업 전에 이미 약속을 했었다.)"
이렇게 칭찬과 인정과 긍정적인 메시지를 받는 아이는 그 이전의 아이와 다르다. 아이는 아이를 바라보는 시선에 의해 자의식이 형성된다. 긍정적인 시각으로 아이를 바라보고, 긍정적인 메시지를 끊임없이 아이에게 주는 것만으로도 산만한 아이는 호기심이 많은 아이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니, 엄마들이여!
우리 아이들에게 아이의 미래를 결정지을 수 있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끊임없이 던져 주자. 아이만이 가지고 있는 보석을 찾아내어 그것을 반짝반짝 빛나게 해 주자. 엄마의 욕심을 잠시만 내려 놓아도 아이의 장점과 강점은 눈에 띄게 되어 있음을 잊지 말자. 그리하여, 아이에게 끊임없이 칭찬과 인정과 격려의 말을 던져 주자.
우리 아이는 반짝반짝 빛나는 눈으로 엄마에게 자신의 미래를 밝고 환하게 얘기하게 될 것이다.
|
|
|
엄마의 욕심을 버리셔라 |
학교 공부와 학원 공부, 중점 전략 |
|
 |
|
|
|
|
|
|
|
|